영구성장법(Perpetuity Growth Method)을 이용한 잔존 가치(Terminal Value) 계산
Dec 15
/
themodellers
잔존 가치(Terminal Value) 계산 시 영구성장법이란?
영구성장법(Perpetuity Growth Method)은 사업 가치 평가와 재무 모델링에서 잔존 가치(Terminal Value)를 추정하는 데 널리 사용되는 방법입니다. 잔존 가치는 예측 기간 이후의 기업 가치를 반영하며, 전체 평가 가치에서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는 경우가 많습니다.영구성장법은 기업이 안정적인 성장률로 현금 흐름(Free Cash Flow, FCF)을 영구적으로 창출한다고 가정하여 잔존 가치를 계산합니다.이 블로그에서는 영구성장법의 정의, 공식, 계산 단계, 사례, 그리고 사용 시점을 설명합니다.
잔존 가치(Terminal Value)란?
잔존 가치는 명시적 예측 기간 이후 모든 미래 현금 흐름의 현재 가치를 나타냅니다.
잔존 가치 없이 기업의 장기적인 운영 가치를 평가에서 제외할 수밖에 없습니다.
잔존 가치를 계산하는 두 가지 주요 방법:
1. 영구성장법(Perpetuity Growth Method) - 본 블로그에서 다룰 방법.
2. 엑시트 배수법(Exit Multiple Method)
영구성장법: 정의와 공식
영구성장법은 기업의 자유 현금 흐름(FCF)이 일정한 성장률로 영구적으로 성장한다고 가정합니다.
이 방법은 고든 성장 모델(Gordon Growth Model)을 사용하여 잔존 가치를 추정합니다.
공식:
Terminal Value=FCF𝑛+1/(WACC−𝑔)
- FCFₙ₊₁: 예측 기간 이후 첫 해의 자유 현금 흐름.
- WACC: 가중평균자본비용(Weighted Average Cost of Capital), 할인율.
- g: 영구 성장률(Perpetual Growth Rate), 일정하다고 가정.
영구성장법을 이용한 말기 가치 계산 단계
1단계: 자유 현금 흐름(FCFₙ₊₁) 예측
예측 기간 마지막 해의 현금 흐름을 기준으로 성장률(g)을 적용해 계산.
2단계: 영구 성장률(g) 결정
장기적인 경제 및 산업 조건을 반영한 안정적이고 현실적인 성장률 선택.
일반적으로 경제 성장률(예: GDP 성장률)을 초과하지 않도록 설정하며, 보통 2~4% 범위를 사용.
3단계: 할인율(WACC) 파악
가중평균자본비용(WACC)을 계산하여 투자자들의 요구 수익률을 나타냄.
4단계: 공식 적용
FCFₙ₊₁, WACC, g 값을 영구성장법 공식에 대입해 잔존 가치를 계산.
영구성장법의 장점
1. 장기 성장 반영
기업이 영구적으로 현금 흐름을 창출하는 능력을 평가.
2. 간단한 공식
WACC와 성장률이 명확하면 계산이 간단함.
3. 경제적 정렬
현실적이고 지속 가능한 성장률을 가정하여 경제 기초와 연계.
영구성장법의 한계
1. 가정에 대한 민감도
성장률(g)이나 할인율(WACC)의 작은 변화가 잔존 가치에 큰 영향을 미침.
2. 장기 성장률 추정의 어려움
변동성이 큰 산업에서는 적절한 영구 성장률을 선택하기 어렵다.
3. 과대평가 위험
비현실적으로 높은 성장률은 잔존 가치를 과대평가하여 기업 가치를 왜곡할 가능성이 있음.
영구성장법 사용 시점
- 장기적 안정성: 안정적이고 성숙한 산업에서 예측 가능한 현금 흐름을 가진 기업에 적합.
- 경제 성장과의 정렬: 기업의 장기 성장률이 경제 성장률 이하일 것으로 예상될 때 적합.
- 시장 비교가 어려운 경우: 유사 기업의 시장 배수(multiples)가 부족하거나 신뢰할 수 없을 때 선호됨.
결론
영구성장법은 안정적이고 장기적인 성장 전망을 가진 기업의 말기 가치를 추정하는 강력한 도구입니다.
고든 성장 모델을 활용해 예측 기간 이후의 현금 흐름을 체계적으로 평가할 수 있습니다.
다만, 성장률(g)과 할인율(WACC)을 신중히 설정해야 하며, 다른 평가 방법과 병행하여 기업 가치를 종합적으로 분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